enum LogLevel {
DEBUG = 'debug',
INFO = 'info',
WARN = 'warn',
ERROR = 'error',
}
type Message = string
class Logger {
private level: LogLevel
constructor(level: LogLevel = LogLevel.DEBUG) {
this.level = level
}
private log(level: LogLevel, message: Message) {
if (this.level === LogLevel.DEBUG || level !== LogLevel.DEBUG) {
const label = level.toUpperCase()
console.log(`[${label}] ${message}`)
}
}
/**
* - 개발 혹은 테스트 단계
* - 운영 환경에서는 남기고 싶지 않은 로그 메세지
*/
public debug(message: Message) {
this.log(LogLevel.DEBUG, message)
}
/**
* - 정상 작동에 대한 정보
* - 시스템을 파악하는데 유익한 정보
*/
public info(message: Message) {
this.log(LogLevel.INFO, message)
}
/**
* - 잠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황
* -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문제 상황
* -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메세지에 상세한 가이드가 필요
*/
public warn(message: Message) {
this.log(LogLevel.WARN, message)
}
/**
* - 심각한 오류나 예외 상황
* - 즉시 조치가 필요할때
*/
public error(message: Message) {
this.log(LogLevel.ERROR, message)
}
}
import z from 'zod'
const envSchema = z.object({
REACT_APP_FEATURE_VAC_ASK: z.string(),
REACT_APP_FEATURE_RECORDS: z.string(),
NODE_ENV: z.enum(['development', 'test', 'production']).default('development'),
})
const windowSchema = z.object({
SOMETHING_COOL: z.string()
})
export const ENV = envSchema.parse(process.env)
export const WINDOW = windowSchema.parse(window)
type Props = {
popover: 'auto' | 'manual'
popovertarget: string
popovertargetaction: 'hide' | 'show' | 'toggle'
}
type State = {
hasBackdrop: boolean
isPopoverOpen: boolean
}
type Methods = {
hidePopover: () => void
showPopover: () => void
togglePopover: () => void
}
type Events = {
beforetoggle: () => void
toggle: () => void
}
import { match } from 'ts-pattern'
type Format = 'webp' | 'jpg'
type Params = {
id: string
quality: keyof typeof QUALITY_MAP
format: Format
}
const QUALITY_MAP = {
player_background: '0',
video_frames_start: '1',
video_frames_middle: '2',
video_frames_end: '3',
lowest_quality: 'default',
medium_quality: 'mqdefault',
high_quality: 'hqdefault',
standard_quality: 'sddefault',
unscaled_resolution: 'maxresdefault',
}
const BASE_URL = 'https://i.ytimg.com'
const VI = (format: Format) =>
match(format)
.with('jpg', () => 'vi')
.otherwise(() => ['vi', format].join('_'))
export function getThumbnail({ id, quality, format }: Params) {
return [BASE_URL, VI(format), id, QUALITY_MAP[quality]]
.join('/')
.concat(`.${format}`)
}
한 마을에 개발자들이 모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그 중 한 명의 개발자인 에릭은 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었고, 그의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은 프로젝트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에릭은 여행을 갈 계획을 세우고 모두에게 알리지 않았습니다.
어느 날, 프로젝트 팀은 예기치 않은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시스템의 일부가 오작동을 일으켜 복구해야 할 상황이었는데, 당연히 에릭이 이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에릭은 이미 여행을 떠나버렸고, 팀은 그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에릭이 없는 상태에서는 아무도 그의 전문적인 지식을 대체할 수 없었기 때문에 팀은 큰 혼란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프로젝트 팀은 에릭의 결석으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긴급 회의를 열었습니다. 모두가 버스 팩터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 사태로부터 배운 교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팀은 이제부터 지식을 공유하고 업무를 분산시키기로 결정했습니다. 각 개발자는 다른 팀원의 역할을 이해하고, 중요한 결정과 지식을 모두가 공유하도록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이제 마을의 개발자들은 에릭 없이도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에릭은 멋진 여행을 즐겼지만, 팀은 그의 결석으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들은 버스 팩터를 기억하며, 이 작은 이야기는 그들에게 프로젝트 관리의 중요성을 상기시켜주었습니다.
https://www.google.com/search?q=%EB%B2%84%EC%8A%A4%ED%8C%A9%ED%84%B0
Stacking Workflow는 큰 엔지니어링 작업을 작은 단위의 코드 변경으로 나누어 독립적으로 테스트, 검토 및 병합할 수 있는 프로세스입니다. 스택은 서로 의존하는 일련의 코드 변경으로 이루어집니다.
Why stack: Stacking은 작성자가 검토를 기다리는 동안 블록되지 않고 작업할 수 있게 하며, 더 품질 높은 검토 의견을 유도하고 작은 변경 사항을 빠르게 병합할 수 있게 합니다. 검토어는 작은 규모의 변경 사항을 검토하고, 재검토하는 시간을 줄이며, 무언가 잘못되었을 때 이를 분석하고 롤백할 수 있는 세분성을 갖추게 됩니다.
What is stacking: Stacking은 여러 개의 의존하는 Pull Request(PR)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Stacking은 작성자가 빠른 검토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높은 품질의 검토 의견을 얻을 수 있게 하며, 작은 변경 사항을 빠르게 병합할 수 있습니다. 검토어는 작은 규모의 변경 사항을 검토하며, 재검토 시간이 줄어들고, 필요한 경우 분석 및 롤백할 수 있는 세분성을 갖게 됩니다.
Stacking vs feature branches: Stacking과 기능 브랜치 모두 트렁크 기반 개발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Stacking은 기능 브랜치와 다른 점이 있는데, 기능 브랜치는 주로 main 브랜치에서 직접 분기되어야 하는 반면, Stacking은 서로 의존하는 PR들 간에 분기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능 브랜치는 비대해지고 검토하기 어려워질 수 있지만, 스택은 항상 가볍고 모듈식으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기능 브랜치는 한꺼번에 검토되고 CI를 통과하고 한 번에 병합되어야 하지만, 스택은 작은 조각으로 검토되고 각각의 브랜치에서 CI를 통과한 후 언제든 병합될 수 있습니다.
Creating a change: Stacking은 이미 브랜치에서 분기하고 서로 의존하는 두 개의 PR을 열었다면 이미 사용한 것입니다. 이 워크플로우는 git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되며, main 대신에 부모 PR에서 개발을 시작하고 브랜치를 확인하면 됩니다.
Splitting: 일부 개발자는 처음에 큰 변경 사항을 작성하고 나중에 이를 작은 변경 사항의 스택으로 나누는 것을 선호합니다. 이는 최종 코드 구조를 미리 예측하기 어려울 때 도움이 되며, 작은, 독립적으로 검토 가능한 일련의 변경 사항을 제출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Updating a change: 스택된 브랜치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전통적인 브랜치를 업데이트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유일한 차이점은 스택된 브랜치를 업데이트한 후에는 의존하는 PR의 병합 베이스도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변경 사항마다 리베이스하는 것은 불안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도구를 사용하면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Opening and updating pull requests: 검토를 위해 준비되면 스택의 각 브랜치당 하나의 PR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브랜치에서 스택을 만들면 첫 번째 PR을 열 수 있습니다. 자주 변경 사항을 제출하면 PR이 작고 동료들이 쉽게 검토할 수 있습니다.
Merging PRs: 변경 사항이 승인되고 CI를 통과하면 병합할 준비가 됩니다. 스택된 변경 사항은 항상 트렁크로 병합되며, 스택의 하단부터 병합됩니다. PR이 병합되면 의존하는 PR의 베이스 브랜치를 트렁크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deep-object-diff와 비슷한 비교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지만, 대표적인 접근 방식은 재귀적으로 객체를 탐색하면서 속성을 비교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릅니다:
- 입력으로 받은 두 객체를 비교합니다.
- 첫 번째 객체의 속성을 순회하면서 두 번째 객체에 동일한 속성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동일한 속성이 있다면, 해당 속성의 값을 비교합니다.
- 값이 같다면, 두 객체의 해당 속성은 동일하므로 비교를 종료합니다.
- 값이 다르다면, 속성이 변경된 것으로 간주하고 변경된 값을 기록합니다.
- 첫 번째 객체의 속성을 순회하면서 두 번째 객체에 동일한 속성이 없는 경우, 해당 속성은 첫 번째 객체에서 삭제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두 번째 객체의 속성을 순회하면서 첫 번째 객체에 동일한 속성이 없는 경우, 해당 속성은 두 번째 객체에 추가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만약 속성이 객체나 배열인 경우, 재귀적으로 해당 객체나 배열을 탐색하면서 내부의 속성을 비교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재귀적으로 반복하면서 객체의 모든 속성을 비교하고 차이를 식별합니다. 재귀적으로 탐색하므로 중첩된 객체나 배열에 대해서도 동일한 비교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교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해 각 언어나 라이브러리는 자체적으로 다양한 방식과 최적화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deep-object-diff나 비슷한 도구들은 이러한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const root = createRoot('#confirm-root')
root.render(<Confirm />)
confirm ui를 만들다보면 window.confirm
을 호출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인데 (안그러면 state
로 관리해야하고 결국 이건 무의미한 코드의 반복이다.)
이걸 react로 구현하려면 결국 render를 사용해야함. react-confirm, react-confirm-alert 둘다 소스를 보면 비슷한 방식으로 접근한다.
모바일 웹뷰에서 특정 영역을 zoom할수 있게 해달라는 요청이 있어서 적용한 내역. 정확히 기억은 안나는데 react-prismazoom를 선택했다.
react-prismazoom은 CSS 변환을 사용하여 React에서 확대 및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팬 및 줌 컴포넌트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prop-types, react, react-dom 모듈에만 의존하며, 데스크톱 및 모바일에서 모두 작동합니다.
주요 기능 및 특징
- 확대 기능 : 마우스 휠이나 두 손가락으로 확대할 수 있습니다. 더블 클릭 또는 더블 탭을 사용하여 확대할 수도 있으며, 선택한 영역을 확대하여 중앙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 이동 기능 : 마우스 포인터나 줌 인 상태에서 손가락을 사용하여 이동할 수 있습니다. 확대된 상태에서는 사용 가능한 공간에 따라 직관적으로 이동합니다. 요소를 이동할 수 있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커서 스타일을 조정합니다.
그 외 비슷한
Tachyon 작동 방식
Tachyon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내장된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a href="..."></a>
태그에 커서를 50밀리초 이상 올려놓으면 콘텐츠를 미리 로드하는 <link rel="prerender" href="...">
태그를 생성합니다(기본값).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링크를 실제로 클릭/탭하기 전에 방문하려는 페이지의 로딩을 시작하도록 브라우저에 지시합니다. 이는 웹 브라우저가 백그라운드에서 준비를 시작하도록 지시합니다.
사용자가 실제로 링크를 클릭하고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준비가 되면 해당 페이지는 이미 준비되어 프레임으로 가져와 페이지 로드 시간이 훨씬 빨라집니다.
이유; 방법
Tachyon은 단순성을 핵심으로 설계되었으며, 이는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단순성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관리자부터 최종 사용자까지 Tachyon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성능, 확장성, 유지보수성, 보안 및 사용 편의성에서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다른 대안에 비해 Tachyon이 개선한 주요 사항 중 하나는 일반적인 <link rel="prefetch" href="...">
대신 <link rel="prerender" href="...">
를 사용하여 페이지 로드가 훨씬 빨라졌다는 점입니다. 프리페치는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만 하고 프리렌더는 페이지를 다운로드하여 렌더링을 시작한다는 점에서 두 방법의 차이는 자명합니다.
또한 Tachyon은 클릭 가능성이 높은 페이지만 미리 로드하고 사용자의 커서가 링크에서 벗어나면 페이지 미리 로드를 중지하는 등 다른 방식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방해가 덜 되는 방식으로 프리로딩 동작을 구현합니다. 이것이 바로 제가 Tachyon을 만든 이유이며, 지금까지도 왜 다른 대안이 이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지 모르겠습니다. 그 결과, Tachyon은 다른 대안에 비해 사이트에 대역폭 부하를 극히 일부만 추가합니다.
다른 프로젝트보다 기능이 적은 것도 아닙니다(인스턴트 페이지와 가상 기능 동등성 및 몇 가지 추가 기능이 있습니다). 단지 다른 프로젝트보다 간결한 방식으로 구현된 기능일 뿐입니다. 별도의 설정 없이 모바일을 지원하고 화이트리스트, 블랙리스트, 사용자 지정 타이밍 및 동일 출처 제한을 구현하며,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기가 훨씬 쉽습니다. 매우 복잡한 기능이 필요한 경우 Tachyon이 최선의 선택이 아닐 수 있지만, 그 외의 모든 사용자에게는 처음부터 최고의 옵션이 될 수 있도록 설계된 Tachyon이 적합합니다.